강좌(72)
-
[기본사진강좌] 총 15 강 목록
번호 내용 비고 01 카메라와 사진의 역사 : 사진의 발견 - 니엡스 · 사진의 완성 - 다게르 02 사진술의 기본 : 자세 및 잡는 방법 , 조리개 , 셔터스피드 , 카메라 ISO 감도 03 노출의 이해 01 : 노출적정 · 등가 노출 · 노출브라케팅 · 노출보정 04 노출의 이해 02 : 노출값 · Exposure Value 05 카메라 측광 (photometry · Photometrie · 測光)이란 무엇인가? 06 카메라 렌즈 종류 : 표준렌즈, 광각렌즈, 어안렌즈, 매크로렌즈, 줌렌즈, 망원렌즈 07 카메라 렌즈 화각 · 초점 거리 · 밝기 08 카메라 모드의 특성 · 차이 ·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기 09 카메라 화이트 밸런스 White Balance , 컬러 밸런스 Color Balance ·..
2019.07.19 -
[실습사진강좌 01] 사진실습 기본 강좌 : 아름다운 풍경사진 · Landscape
여행 중에 멋진 대자연의 모습을 보고 ‘사진에 담아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다.’란 생각을 해봅니다. 어느 땐 카메라가 있어서 찍어보기도 합니다. 그러나 내가 본 대자연의 멋진 모습과는 좀 다르게 나옵니다. 내가 찍은 사진에 담긴 대자연은 하늘은 너무 밝고 땅은 어둡습니다. 눈으로 본 현실의 풍경은 탁 트인 모습이데, 나의 사진에는 답답하게 나옵니다. 카메라 탓을 해봅니다. 남들이 좋다는 비싼 풀프레임DSLR과 16-35mm렌즈를 구입해서 찍어 봅니다. 컴팩트 카메라로 찍은 사진과 다르지 않게 나옵니다. 남들에게 보여주면 스마트폰으로 찍었다는 소리를 들을 것 같습니다. 눈과 생각으로는 멋진 풍경인데, 정작 사진에 담는 것은 생각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 위 사진에서 보면 왼쪽 사진, 500만 화소 스마트폰..
2019.07.19 -
[사진강좌 15] 카메라 플래시 : 선막동조 · 후막동조 · 저속동조 · 반사판
어두운 곳에서 부족한 빛을 보충하거나 역광에서 배경보다 상대적으로 어둡게 나오는 피사체에 빛을 보충할 의도로 플래시나 반사판을 사용한다. 플래시는 요즘 출시하는 대부분의 디지털카메라에 기본적으로 장착돼 있으며, 보다 밝은 광량을 원할 땐 외장 플래시인(또는 스트로보)를 추가로 구입하여 사용한다. 반사판의 경우는 거울이나 밝은 흰 종이, 은박지 등을 이용하면 되고 시중에서 판매하는 은박지가 붙은 둥근 원형의 반사판을 구입하여 사용해도 된다. 1. 플래시 사용 위 사진에서 좌는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아서 피사체가 어둡고 흐리다. 우는 플래시를 사용하여 피사체가 밝고 선명하다. 일반적인 플래시 사용은 누구나 할 수 있다.(아직 플래시 작동법을 모르면 카메라 매뉴얼을 참조) 2. 선막동조 후막동조 저속동조란? 선..
2019.07.18 -
[사진강좌 14] 알아두면 좋은 카메라 상식 : ISO · 히스토그램 · EXIF · 콘트라스트 · 선예도 · 채도 · 색조
01 고품질의 사진을 촬영하고 싶을 땐. 카메라 제조회사마다 약간씩은 다르지만, 카메라 LCD정보 표시모드를 변경하다보면 위 사진의 푸른색 점선안의 ISO란 글자를 본적이 있을 것이다. ISO란 센서에 빛에 감응하는 속도의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ISO 값이 클수록 빛에 감응하는 속도가 빨라져 빠른 셔터스피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ISO값이 클수록 사진의 품질이 떨어져 사진에 노이즈가 많이 생긴다. 이에 셔터스피드가 너무 느리지 않다면 ISO값을 낮춰 촬영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촬영일 경우 ISO값을 100에 맞춰 촬영하면 좋은 품질의 사진이 나온다. 최신 기종의 디지털카메라는 ISO 50도 지원하고 있으니 가능한 최하의 값을 지정하여 사용하자. ※ ISO 감도를 모를 땐 : 사진술의 기본 : 자세 및..
2019.07.17 -
[사진강좌 13] 사진의 기본 구도 : 삼등분할 · 수평 · 수직 · 대각선 · 곡선 · 삼각형 · 원형
명화나 명작의 사진을 접할 때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는, 시간과 공간, 운동감 등을 눈으로 보는 듯한 무엇인가가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2차원적인 평면적인 사진이지만 사진의 요소들은 공간의 차, 시간의 차, 안정된 모습, 움직이는 모습 등 다양함이 존재한다. 그러한 효과를 주기 위해서 사진에서는 구도란 것을 알아야 한다. 구도란 프레임 안에 피사체를 형태, 색채, 명암, 원근법 등을 고려하여 각 요소를 배치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구도에서 중요한 것은 각 요소들의 균형과 구성이다. 구도가 완벽하다고 꼭 좋은 사진은 아니다. 어떨 땐 완벽한 구성이 답답한 느낌이 들고, 평범한 사진이 되어서 보는 관객은 그 사진에서 무료함을 느낄 수도 있고, 촬영자의 개성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2019.07.16 -
[사진강좌12] 카메라 위치에 따른 사진의 변화 : 아이레벨 · 하이앵글 · 로우앵글
카메라의 위치를 변화시키면 사진의 느낌과 분위기가 다르게 보인다. 카메라의 위치에 대한 변화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카메라의 위치’를 앵글(Angle)이라 명명하고 설명하겠다. 앵글의 각도는 다양하겠지만 크게 아이레벨(Eye Level)앵글, 하이(High)앵글, 로우(Low)앵글 3가지가 있다. 아이레벨(Eye Level Angle)앵글 :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앵글로 피사체를 눈높이에서 바라본 장면을 아이레벨앵글이라 한다. 안정적이고 편안함을 주지만 심심한 사진이 될 수 있다. 하이(High Angle)앵글 : 높은 곳에서 피사체를 바라본 장면을 하이앵글이라 한다. 인물을 촬영할 경우 머리는 크고 하체는 짧게 나온다. 인물의 표정을 담기에 좋고 인물의 눈이 크게 나오며 턱은 갸름하게 나온다..
201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