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72)
-
[사진강좌 11] 알아두면 좋은 카메라 상식 : 비네팅 · 수차 · 플레어 · 고스트
비네팅(Vignetting) : 렌즈 주변부 광량의 저하로 사진의 주변부가 어둡게 나오는 현상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렌즈 자체의 문제이거나 조리개가 필름(센서)의 크기와 맞지 않는 경우, 렌즈 후드나 필터를 장착에 의해 주변부가 가려서 사진의 주변부가 어둡게 나오는 경우 등이다. 비네팅은 조리개를 조이면 대부분 사라진다. 사진 가장자리의 불필요한 부분을 가리거나 관객의 시선을 중앙 부분에 이끌기 위해 비네팅을 일부러 만드는 경우도 있다. 일부 촬영자의 경우 멋을 위해 포토샵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수차(Aberration) : 렌즈의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로, 저렴한 렌즈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수차가 발생한다. 상이 맺을 때 한 점에서 나온 빛이 렌즈를 지난 다음, 한 점에 모이지 않..
2019.07.14 -
[사진강좌 10] 사진의 빛 과 조명 - 종류 · 특성 · 차이점 · 중요성
사진은 빛의 결과물이므로 빛이 없으면 사진은 완성될 수 없다. 강한 빛은 강하게, 약한 빛은 약하게 필름(센서)에 기록된다. 사진은 랜즈로 들어온 빛을 필름(센서)로 받아 완성된다. 근본적인 피사체의 변화는 없지만 빛의 방향에 따라 피사체의 모습들이 다르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빛을 알고 사진을 촬영해야 좋은 사진, 깨끗한 사진, 개성 있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빛의 강약은 조리개와 셔터스피드로 조절하면 되며, 빛의 방향에는 크게 정면광, 역광, 사광, 측면광, 반역광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정면광(Front Light) : 피사체의 정면에서 비치는 광선을 말하며 순광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사진 및 단체사진 등에 많이 활용한다. 빛이 정면에서 비치기에 윤곽선이 확실하지 못하고 입체적이지 못하다는 단..
2019.07.13 -
[사진강좌 09] 카메라 화이트 밸런스 White Balance , 컬러 밸런스 Color Balance · 색온도
사진을 촬영할 때 사진사가 보지 못했던 색이 사진에 담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사진에 담긴 색이 이상하여 '카메라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의심을 했을 수도 있다. 카메라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형광등 빛에서는 피사체가 초록빛과 파랑빛으로 나오고, 텅스텐 조명에서는 다소 따스한 색인 붉게 나온다. 사람의 눈에는 구별이 되지 않는 이러한 색도 카메라는 구별하여 사진에 담는다. 촬영 장소의 빛이 무엇이냐에 따라 사진의 색이 변하는데, 이를 사람이 인식한 색으로 나오도록 카메라의 색온도①를 맞춰 피사체의 원래 색으로 촬영되도록 하는 기능이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또는 컬러 밸런스(Color Balance)이다. ①색온도(color temperature, 色溫度) : 어떤 ..
2019.07.12 -
[사진강좌 08] 카메라 모드의 특성 · 차이 ·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기
DSLR이나 중·고급 기종의 카메라에는 제조회사마다 약간씩은 다르나 대부분 우측 또는 좌측에 카메라 모드가 장착되어 있다. 최근에는 중급기 못지않은 디지털카메라, 휴대폰(스마트폰)도 속속 출시되고 있다. 구입 시 받은 제품 매뉴얼을 참고하자. 카메라 모드에는 수동(M), 조리개우선(A 또는 Av), 셔터우선(S 또는 Tv), 프로그램(P), 자동(AUTO)으로 구분되어 있다. 제조사별 모드의 표기는 일반적으로 니콘과 소니는 수동(M), 조리개우선(A), 셔터우선(S), 프로그램(P), 자동(AUTO)로 표기하고, 캐논과 팬탁스는 수동(M), 조리개우선(Av), 셔터우선(Tv), 프로그램(P), 자동(AUTO)로 표기되어 있다. 제조사별 표기문자가 약간씩은 다르나 기능은 동일하다. 각 모드의 차이와 특성에..
2019.07.11 -
[사진강좌 07] 카메라 렌즈 화각 · 초점 거리 · 밝기
사람의 시각과 가장 유사하게 상(Image)를 포착할 수 있는 50mm 렌즈를 기준으로 50mm를 표준렌즈라 여긴다. 50mm 이하를 광각렌즈(8mm를 어안렌즈나 초광각렌즈)라하며, 이상을 망원렌즈(200mm이상은 초망원렌즈)라고 한다. 1. 화각이란? 카메라 렌즈로 보는 장면의 시야를 화각이라 하는데, 위 그림에서 파란색의 범위가 화각이다. 2. 초점거리 초점거리란 렌즈에서 상(Image)이 맺히는 필름(센서)까지 거리를 의미하는데,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피사체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화각은 커지고, 렌즈의 초점거리가 길수록 피사체의 크기가 커지면서 화각은 작아진다. 광각렌즈는 초점거리가 짧아서 화각은 넓고 피사체의 크기는 작고, 망원렌즈는 초점거리가 길어서 화각은 작지만 피사체의 크기가 크다. 왼쪽..
2019.07.10 -
[사진강좌 06] 카메라 렌즈 종류 : 표준렌즈, 광각렌즈, 어안렌즈, 매크로렌즈, 줌렌즈, 망원렌즈
렌즈는 카메라로 들어온 빛을 모아 필름(센서)에 상(Image)를 맺힐 수 있도록 한다. 렌즈의 종류로는 표준렌즈, 광각렌즈, 어안렌즈, 마이크로렌즈, 망원렌즈, 줌렌즈, 단렌즈 등이 있는데, 각 렌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표준렌즈 : 사람의 시각과 가장 유사하게 상(Image)를 포착할 수 있는 렌즈로 사용 필름(센서)의 대각선 길이와 초점거리가 비슷한 렌즈를 표준렌즈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35mm필름(센서) 카메라의 경우 초점거리가 50mm정도의 렌즈가 이에 해당된다. 사람의 시각과 가장 유사하기에 렌즈에 의한 과장이 적고 원근감 등이 자연스럽다. 일반적인 촬영에 많이 이용되는 렌즈이다. 광각렌즈 : 표준렌즈보다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로 일반적으로 35mm, 28mm 등 50mm이하의 렌즈가 이에 ..
2019.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