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7)
-
[사진강좌 기초 포토샵 02] 어도비 포토샵 Adobe Photoshop - 수평 맞추기 · 자르기 · 안내선 · 이동 도구 · 자르기 도구 · 눈금자
1) 사진 불러오기 ([파일] -> [열기] : 단축키 Ctrl+O) 2) 안내선 이용하기 불러온 사진은 수평이 좀 비스듬하게 기울어 보입니다. 눈으로 보아서 수평이 맞지 않음을 확인할 수 없다면 안내선을 이용하면 비스듬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주변부에 눈금자가 있습니다. 눈금자에 마우스 커서를 놓고 왼쪽 버튼을 누른 채로 끌기 하여 내리면 됩니다. (눈금자가 보이지 않는 분은 상단의 메뉴에서 [보기] -> [눈금자]를 선택하면 눈금자가 사진틀에 나옵니다.) 3) 이동도구 선택 사진 전체를 선택(상단의 메뉴에서 [선택] -> [모두] : 단축키 Ctrl+A)하고 왼쪽 도구에서 이동도구를 선택합니다. 그럼 사진의 모서리에 작은 흰 점들이 나옵니다. 흰 점을 마우스 왼..
2020.08.04 -
[기본사진강좌] 총 15 강 목록
번호 내용 비고 01 카메라와 사진의 역사 : 사진의 발견 - 니엡스 · 사진의 완성 - 다게르 02 사진술의 기본 : 자세 및 잡는 방법 , 조리개 , 셔터스피드 , 카메라 ISO 감도 03 노출의 이해 01 : 노출적정 · 등가 노출 · 노출브라케팅 · 노출보정 04 노출의 이해 02 : 노출값 · Exposure Value 05 카메라 측광 (photometry · Photometrie · 測光)이란 무엇인가? 06 카메라 렌즈 종류 : 표준렌즈, 광각렌즈, 어안렌즈, 매크로렌즈, 줌렌즈, 망원렌즈 07 카메라 렌즈 화각 · 초점 거리 · 밝기 08 카메라 모드의 특성 · 차이 ·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기 09 카메라 화이트 밸런스 White Balance , 컬러 밸런스 Color Balance ·..
2019.07.19 -
[사진강좌12] 카메라 위치에 따른 사진의 변화 : 아이레벨 · 하이앵글 · 로우앵글
카메라의 위치를 변화시키면 사진의 느낌과 분위기가 다르게 보인다. 카메라의 위치에 대한 변화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카메라의 위치’를 앵글(Angle)이라 명명하고 설명하겠다. 앵글의 각도는 다양하겠지만 크게 아이레벨(Eye Level)앵글, 하이(High)앵글, 로우(Low)앵글 3가지가 있다. 아이레벨(Eye Level Angle)앵글 :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앵글로 피사체를 눈높이에서 바라본 장면을 아이레벨앵글이라 한다. 안정적이고 편안함을 주지만 심심한 사진이 될 수 있다. 하이(High Angle)앵글 : 높은 곳에서 피사체를 바라본 장면을 하이앵글이라 한다. 인물을 촬영할 경우 머리는 크고 하체는 짧게 나온다. 인물의 표정을 담기에 좋고 인물의 눈이 크게 나오며 턱은 갸름하게 나온다..
2019.07.15 -
[사진강좌 11] 알아두면 좋은 카메라 상식 : 비네팅 · 수차 · 플레어 · 고스트
비네팅(Vignetting) : 렌즈 주변부 광량의 저하로 사진의 주변부가 어둡게 나오는 현상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렌즈 자체의 문제이거나 조리개가 필름(센서)의 크기와 맞지 않는 경우, 렌즈 후드나 필터를 장착에 의해 주변부가 가려서 사진의 주변부가 어둡게 나오는 경우 등이다. 비네팅은 조리개를 조이면 대부분 사라진다. 사진 가장자리의 불필요한 부분을 가리거나 관객의 시선을 중앙 부분에 이끌기 위해 비네팅을 일부러 만드는 경우도 있다. 일부 촬영자의 경우 멋을 위해 포토샵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수차(Aberration) : 렌즈의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로, 저렴한 렌즈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수차가 발생한다. 상이 맺을 때 한 점에서 나온 빛이 렌즈를 지난 다음, 한 점에 모이지 않..
2019.07.14 -
[사진강좌 10] 사진의 빛 과 조명 - 종류 · 특성 · 차이점 · 중요성
사진은 빛의 결과물이므로 빛이 없으면 사진은 완성될 수 없다. 강한 빛은 강하게, 약한 빛은 약하게 필름(센서)에 기록된다. 사진은 랜즈로 들어온 빛을 필름(센서)로 받아 완성된다. 근본적인 피사체의 변화는 없지만 빛의 방향에 따라 피사체의 모습들이 다르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빛을 알고 사진을 촬영해야 좋은 사진, 깨끗한 사진, 개성 있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빛의 강약은 조리개와 셔터스피드로 조절하면 되며, 빛의 방향에는 크게 정면광, 역광, 사광, 측면광, 반역광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정면광(Front Light) : 피사체의 정면에서 비치는 광선을 말하며 순광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사진 및 단체사진 등에 많이 활용한다. 빛이 정면에서 비치기에 윤곽선이 확실하지 못하고 입체적이지 못하다는 단..
2019.07.13 -
[사진강좌 09] 카메라 화이트 밸런스 White Balance , 컬러 밸런스 Color Balance · 색온도
사진을 촬영할 때 사진사가 보지 못했던 색이 사진에 담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사진에 담긴 색이 이상하여 '카메라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의심을 했을 수도 있다. 카메라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형광등 빛에서는 피사체가 초록빛과 파랑빛으로 나오고, 텅스텐 조명에서는 다소 따스한 색인 붉게 나온다. 사람의 눈에는 구별이 되지 않는 이러한 색도 카메라는 구별하여 사진에 담는다. 촬영 장소의 빛이 무엇이냐에 따라 사진의 색이 변하는데, 이를 사람이 인식한 색으로 나오도록 카메라의 색온도①를 맞춰 피사체의 원래 색으로 촬영되도록 하는 기능이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또는 컬러 밸런스(Color Balance)이다. ①색온도(color temperature, 色溫度) : 어떤 ..
2019.07.12